1. 기본형(Primitive type) - 종류와 크기
- 논리형
- true와 false중 하나를 값으로 가지며, 조건식과 논리적 계산에 사용된다.
- 문자형
- 문자열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, 변수 당 하나의 문자열만을 저장할 수 있다.
- 정수형
- 정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.
- int와 long이 주로 사용된다.
- byte는 이진 데이터를 다루는데 사용된다.
- short는 c언어와의 호환을 위해 추가되었다.
- 실수
- 실수 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
- float와 double이 있다.
1(byte) | 2(byte) | 4(byte) | 8(byte) | |
논리형 | boolean | |||
문자형 | char | |||
정수형 | byte | short | int | long |
실수형 | float | double |
2. 기본형(Primitive type) - 표현범위
-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의 개수 : 2(n승)개
-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없는 정수의 범위 : 0 ~ 2(n승)-1
-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있는 정수의 범위 : -2(n-1승) ~ 2(n-1승) - 1
- S : 부호비트(0이면 양수, 1이면 음수)0
S | 7 bit |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. 화면으로부터 입력받기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8 |
---|---|
09. printf를 이용한 출력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
07. 기본형과 참조형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
06. 두 변수 바꾸기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
05. 상수와 리터럴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