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변수, 상수, 리터럴
- 변수(variable) -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
- 상수(constant) - 한 번만 값을 저장 가능한 변수
- 리터럴(literal) -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
int score = 100; // 리터럴 = 100
score = 200; // 리터럴 = 200
final int MAX = 100; // MAX는 상수, 리터럴 = 100
MAX = 200; // 에러, 리터럴 = 200
2. 리터럴의 접두사와 접미사
boolean power = true; // false
char ch = 'A';
String str = "ABC";
byte b = 127;
int i = 100; // 10진수
int oct = 0100; // 8진수
int hex = 0x100; // 16진수
long l = 10_000_000_000L; // L생략불가
long l = 100; // L생략가능
float f = 3.14f;
double d = 3.14d;; // d 생략가능
10. -> 10.0
.10 -> 0.10
10f -> 10.0f
1e3 -> 1000.0d // e는 10의 n제곱 실수형에 사용됨
3. 변수와 리터럴의 타입 불일치
- 범위가 '변수 > 리터럴' 인 경우
int i = 'A'; // int > char
long l = 123; // long > int
double d = 3.14f;// double > float
- 범위가 '변수 < 리터럴' 인 경우
int i = 30_0000_0000; // int의 범위 (+-21억)을 벗어남
long l = 3.14f ; // long < float
float f = 3.14; // float < double
- byte, short 변수에 int리터럴 저장가능
byte b = 100; // byte의 범위(-128~127)에 속함
byte b = 128; // byte의 범위를 벗어남
- 문자와 문자열
char ch = 'A';
char ch = 'AB'; // 에러
String s = "ABC";
String s = "A";
String s = ""; // 빈 문자열
char ch = ''; // 에러
String s1 = "AB";
String s2 = new String("AB");
String s1 = "A" + "B"; // "AB"
// "" + 7 -> "" + "7" -> "7"
// "" + 7 + 7 -> "7" + 7 -> "7" + "7" -> "77"
// 7 + 7 + "" -> 14 + "" -> "14" + "" -> "14"
// 문자열 + any type -> 문자열
// any type + 문자열 -> 문자열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7. 기본형과 참조형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
---|---|
06. 두 변수 바꾸기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
04. 변수의 타입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
03. 변수의 선언과 저장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
02. 글자 출력, 덧셈 뺄셈 계산하기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4.12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