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로컬 프로그램 실행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hello");
}
}
- java.exe가 java Main클래스의 main()메서드를 실행 Hello출력 후 종료
- static은 객체생성 없이 호출이 가능하기 때문
2. 원격 프로그램 실행
- 원격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은 어떻게 실행할 수 있을까?
- 웹브라우저와 같이 원격프로그램을 호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
- 원격 컴퓨터에 톰캣같은 was가 있어야한다.
- 그 외의 프로그램등록, URL과 프로그램을 연결이 있다.
@Controller // 1. 프로그램 등록
public class Hello {
@RequestMapping("/hello") // 2. URL과 main()을 연결
public void main(){
System.out.println("Hello");
}
}
- @Controller를 등록해서 이 프로그램은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는 원격 프로그램으로 등록
- @RequestMapping은 URL을 입력햇을때 실행될 메서드를 연결
- public void main() : static이 아니다 -> 객체 생성 필요 -> @Controller로 등록된 프로그램은 스프링이 자동으로 객체 생성을 해준다.
- 그냥 실행하면 에러가 나지만...
- Hello가 잘 나온모습...
@RestController // 1. 프로그램 등록
public class HelloController {
@RequestMapping("/hello") // 2. URL과 main()을 연결
public String main(){
System.out.println("Hello");
return "Hello";
}
}
- 코드를 바꿔주면...
'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 타임리프 사용하기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5.03.05 |
---|---|
4. 클라이언트 서버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5.02.20 |
2. Spring Boot/MySQL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5.02.19 |
1. Spring Boot 시작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 (0) | 2025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