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

49. 서버 가상화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

gkss2tpt 2025. 1. 22. 09:27

1. 서버를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기술

  • 클라우드 핵심 기술이 서버 가상화이며, 클라우드의 서버는 물리적 구성에 의존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구성됨
  • 하나의 물리적 서버(실제 하드웨어)를 여러 개의 가상 서버(Virtual Machines, VM)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술로
    각 가상 서버는 독립적인 운영체제(OS)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, 실제 물리적 서버와는 별개로 동작
  • 가상 서버: 물리적 서버 위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생성된 가상의 컴퓨터
  • 가상 CPU (vCPU)
    • 정의: 물리적 CPU 코어를 가상 서버에 할당한 논리적 CPU.
    • 기능: 가상 서버는 필요에 따라 vCPU를 할당받아 처리 능력을 가집니다.
    가상 메모리 (vRAM)
    • 정의: 물리적 메모리를 가상 서버에 할당한 논리적 메모리.
    • 기능: 각 가상 서버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며, 필요에 따라 메모리를 할당받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.
    가상 저장소 (vStorage)
    • 정의: 물리적 저장장치를 가상 서버에 할당한 논리적 저장 공간.
    • 기능: 가상 서버는 독립적인 저장 공간을 가지며,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가상화 종류
    • 하이퍼바이저 (베어메탈 하이퍼바이저)
      • 정의: 물리적 서버의 하드웨어 위에 직접 설치되는 하이퍼바이저입니다. 운영체제가 필요 없으며, 하이퍼바이저가 모든 자원을 직접 관리합니다.
    • 하이퍼바이저 (호스트형 하이퍼바이저)
      • 정의: 기존 운영체제(OS) 위에서 실행되는 하이퍼바이저입니다. 호스트 OS의 자원을 사용하여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관리합니다.
    • 호스트 OS형 : 호스트 운영체제 위에서 가상화를 수행하는 방식
  • 가상 머신과 물리적 하드웨어 사이에 가상화 계층이 존재하며, 이 계층을 통해 여러 가상 머신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고, 하이퍼바이저는 이 가상화 계층을 구현하는 핵심 소프트웨어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