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
50. 분산 기술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
gkss2tpt
2025. 1. 22. 09:34
1. 노드가 자율적으로 통신하는 기술
- 중앙집중형은 전체 네트워크 트래픽을 단일 지점에서 관리할 수 있어 제어가 쉽고 관리가 간편하지만, 중앙 노드가 다운되면 전체 네트워크가 다운되고,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유연성도 제한됨
- 분산형은 네트워크 전체를 중앙에서 관리하는 주체가 존재하지 않고, 각 노드가 자율적으로 데이터 통신 및 패킷 교환을 수행, 개별 호스트 또는 회선이 다운되어도 네트워크 전체의 가동이 머무지 않고 확장성과 유연성이 높다.
2. 인터넷에서 활용되는 분산 기술
-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(Content Delivery Network, CDN)
- CDN은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웹 콘텐츠(이미지, 동영상, HTML 파일 등)를 사용자에게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입니다.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**지연 시간(latency)**을 최소화하고 로드 시간을 단축합니다.
- ex : 유튜브, 넷플릭스: 전 세계 사용자에게 고화질 동영상을 원활하게 스트리밍하기 위해 CDN을 활용합니다.
-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 (Peer-to-Peer, P2P)
- P2P 네트워크는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노드가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공유하는 구조입니다. 각 노드는 데이터의 저장과 전송을 담당하여 분산된 데이터 관리를 실현합니다.
- ex : 비트코인 및 기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
- 클라우드 컴퓨팅 (Cloud Computing)
-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분산된 데이터 센터의 컴퓨팅 자원(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)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입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물리적 인프라에 대한 관리 부담 없이 유연하게 자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ex : Amazon Web Services (AWS), Microsoft Azure, Google Cloud Platform (GCP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