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
8. IP주소 - 패스트캠퍼스 백엔드 부트캠프 3기
gkss2tpt
2025. 1. 7. 17:26
1. IP주소
- 출발지와 목적지 네트워크를 특정하는 식별자
- 글로벌IP주소
- (공인 IP) : 인터넷에서 유일하게 식별 가능한 주소로, 전 세계 어디서든 직접 접근 가능. 주로 외부와의 통신에 사용.
- 특징 : 공공성, 고유성, 외부 노출 가능
- 프라이빗 IP주소
- (사설 IP) :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한 주소로, 인터넷에 직접 노출되지 않음. NAT를 통해 공인 IP와 연결 가능.
- 특징 : 보안성, 중복 허용, 내부 통신 전용
2. IPv4
- 32비트로된 데이터
- 주소를 약 43억 개 표현할 수 있다.
- 특징 : 주소 부족 문제 발생
3. IPv6
- 128비트로된 데이터
- 특징 : 방대한 주소 공간 제공
4. IPv4와 IPv6의 비교
- 주소 길이 및 형식
- IPv4: 32비트 주소, 4개의 10진수로 구성 (예: 192.168.0.1).
- IPv6: 128비트 주소, 8개의 16진수로 구성 (예: 2001:0db8:85a3::8a2e:0370:7334).
- 주소 공간
- IPv4: 약 43억 개의 주소.
- IPv6: 사실상 무제한에 가까운 주소(3.4×10³⁸ 개).
- 헤더 구조
- IPv4: 헤더가 상대적으로 복잡(옵션 필드 포함).
- IPv6: 헤더가 간소화되어 처리 속도 향상.
- 보안
- IPv4: 보안 기능이 기본 제공되지 않음(IPSec 별도 구현 필요).
- IPv6: IPSec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음.
- 네트워크 설정
- IPv4: 주로 DHCP를 사용한 수동 설정 필요.
- IPv6: 자동 주소 구성(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, SLAAC) 지원.
- 전환 및 호환성
- IPv4: 기존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.
- IPv6: IPv4와의 호환성을 위해 이중 스택, 터널링 등의 기술 필요.
- IPv4는 주소 부족 문제를 겪고 있으며, IPv6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차세대 프로토콜로 더 큰 주소 공간, 간소화된 헤더, 그리고 향상된 보안을 제공.